반응형 전통주 이야기13 [술 이야기] 안동소주 - '소주'의 근본인 증류식 소주의 원조 이번 포스팅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술로 많이 알려진 '소주'에 대한 포스팅이다. 그중에서도 소주의 근본인 '증류식 소주', 그 증류식 소주의 원조 격인 '안동소주'에 대해 포스팅하려 한다. 안동소주의 특징과 역사, 제조법, 맛과 구매처 등에 대한 정보를 정리하여 기록해 알리고자 한다. 강렬하지만 은은한 곡향이 일품인 우리나라 민속주, '안동소주'에 대해 알아보자. 1. 안동소주란? -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12호인 전통 증류식 소주 안동소주는 이름에서와 같이 우리나라의 경북 안동시에서 제조되는 우리나라 전통 증류식 소주를 말한다. 현재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12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식품명인 제6호인 박재서 명인과 제20-가호인 김연박 명인이 제조하는 안동소주가 유명하다. 주세법 상으로 안동소주는 증류식 .. 2023. 1. 11. [연말연시 선물 포장] 연말연시 선물, 한지로 멋스럽게 전통주 포장하기 거리에는 벌써 연말 분위기가 물씬 풍기고 있다. 오늘 포스팅은 연말을 맞아 주고받을 선물에 대한 포장, 한지를 이용한 멋스러운 포장법을 전에 손수 빚어둔 신도주를 이용해 포스팅하려 한다. 1. 포장에 필요한 재료 신도주 (선물할 전통주 등 물건) 2병 - 필수 수축라벨캡 2개 - 선택 수축라벨캡 고정용 드라이기 - 수축라벨캡을 이용한다면 필수. 한지 2종 (겉포장, 속포장) - 필수 털실 1 롤, 금실 1팩 - 둘 중 하나 선택 7mm 양면테이프 - 필수 한지를 자를 칼 혹은 가위 - 필수 수치재기 및 표기용 자 - 필수(눈대중에 능하다면 선택) 표시용 필기구 (기화펜 추천) - 필수(눈대중에 능하다면 선택) 풀 - 필수 장식용 엽전 등 장식할 재료 - 선택, 있으면 좋음 포.. 2022. 12. 23. [술빚는 이야기] 신도주 빚기 - ⑥ 채주 및 병입하기 (완성) 이번 포스팅은 지난번 포스팅인 ⑤ 1차 술 거르기 과정 이후 신도주 빚기의 최종단계 포스팅인 ⑥ 채주 및 병입 과정 포스팅이다. 신도주 빚기를 시작한 것이 10월 6일이었고 이어지는 과정을 거쳐 최종 채주 및 병입 한 날이 11월 20일이었으니, 1달 하고도 2주 정도가 더 걸린 셈이다. 약 6주? 정도가 걸린 듯. 술의 완성도에 대한 판단에 따라 채주 시기에 따라 조금 더 줄일 수도 있고, 늘릴 수도 있는 것 같다. 아무튼 길다면 긴 시간이었던 신도주 빚기의 마지막 단계 포스팅 시작! 1. 신도주 분리 상태 확인 - 층분리가 완벽히 끝난 신도주 지난번 10월 24일에 있었던 1차 술 거르기 이후 담아둔 술통을 냉장고에 11월 20일까지 보관해 둔 결과물이다. 기존의 막걸리와 같은 유백색의 술이 분리가 .. 2022. 11. 24. [술 이야기] 한산 소곡주 - '앉은뱅이 술'의 설화를 가진 달콤한 우리 술 이번 포스팅은 '앉은뱅이 술'의 전설을 가진 우리나라의 전통주, '한산 소곡주'에 대한 포스팅이다. 한산소곡주와 소곡주의 유래와 제조법, 맛과 구매처 등에 대한 정보를 담아 공유하고자 한다. 달콤하게 코 끝과 혀끝을 간질이는 우리나라의 명주, '한산 소곡주'에 대하여 알아보자. 1. 한산 소곡주란? 소곡주는 우리나라의 충남 서천군에서 빚어지는 우리 전통술을 말한다. 충남 서천군의 유명한 특산물 중 하나로,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3호로 등록되어있다. 한산의 전 지역에 걸쳐 있는 양조장들과, 가정에서도 각자들만의 레시피로 제조하고 있다. 그중 전국적으로 가장 유명한 것은 대한민국 식품명인 제19호로 지정된 '우희열 명인'의 한산 소곡주이다. 각각의 양조장과 가정에서 각각의 제조법으로 빚고 있기 때문에 본인들.. 2022. 11. 8.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